본문 바로가기

내가 본영화,읽은책

말하기,듣기,읽기,쓰기, 누구나 다 한다고? 정말로?

초등학교에 들어간 우리아이, 모든것이 생소할텐데 처음 만나게 될 담임선생님과 친구들, 학교 교육이라는 시스템에 과연 잘 적응할수 있을까 하는 불안감은 모든 부모들이 갖는 일종의 통과의례일 것이다. 입학전 선행학습을 시킨다고 하긴 했는데 다른애들보다 뒤쳐지지 않을까? 한글도 뗏고, 덧셈, 뻴셈도 할줄아는데 다른애들 수준은 어느정도일까? 어릴때부터 독서가 중요하다고 해서 창작동화, 전래동화, 명작동화까지 두루두루 접해줬는데 어릴적 독서가 학교 학습에서도 도움이 될까? 기대도 되고, 한편으로 또 불안하기도 하다. 유치원적엔 선생님한테 전화도 자주해서 물어보기라도 했지, 학교 선생님은 왠지 또 어렵기만하다. 초등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교과목은 뭘까 하는 질문을 엄마들에게 던져보면 과반수 이상이 수학이나, 과학, 영어를 들지 않을까 싶다. 또 일부는 논술이라고 생각할수도 있고~ 여기 김정금 선생은 단연코 '초등공부는 국어가 전부다'라고 얘기한다.


여기서 말하는 국어는 어려운 개념이 아니다.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말한다. 초등학교에 들어간 아이라면 이정도는 다 하지 않느냐고? 설령 한글을 늦게 뗀 아이들이 읽기와 쓰기는 자신없을지 몰라도 말하기와 듣기는 자신있어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나면 아이들중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제대로 하는 아이들이 드물다는데 찬성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 주위에서 보는 수많은 초등 1,2년생 혹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원아들은 국어에 약하다. 말하기는 잘하지만 듣기를 못한다거나, 읽기는 잘하는데 뜻을 모른다거나, 듣고, 읽으면서 정보를 받아들인 후 생각하는 과정을 거쳐 상황에 맞는 말하기나 쓰기가 안되는 경우들이 의외로 많다.



이 책의 저자 김정금 선생은 영어, 수학, 과학등 모든 학습은 국어에서 시작한다며 엄마와 함께 하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가 초등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키우는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항목이라고 주장한다. 일단 목차를 살펴보자.








마치 엄마와 아이가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듯 설정한 목차가 흥미롭다. 책 이야기에 앞서 일단 책블로거로 활동하고 있는 내 얘기부터 해야겠다. 해년마다 인터넷서점 인터파크에서는 '독서의 달인'이라는 이벤트를 1년 단위로 진행한다. 새해가 되면 올 1년동안 내가 읽을 책의 독서량을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면 도서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식으로 동기부여를 시켜주고, 국민들의 독서습관을 키워주기 위한 취지로 진행되는 이벤트다. 스스로 1년에 50권, 100권, 150권 이런식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읽은 책의 리뷰를 인터파크의 북피니언에 올림으로서 실적을 평가받는다. 목표달성 여부와 별도로 한해동안 가장 많은 책을 읽은 다독자에게 별도의 상품이 수여되는데 오늘자로 검색해보니 1위를 달리고 있는 회원이 383권을 읽었다고 올라와 있다. 


1월 1일부터 참여했다고 가정해도 210일 동안 383권의 독서라면 하루에 1.8권의 책을 읽었다는 말이된다. 이는 사실 약과다. 독서의 달인과 비슷한 이벤트를 하면 우승자들은 대부분 1년 365일 하루도 빠짐없이 하루에 두세권의 책을 읽은 사람들이다. 어떤 북카페에 가면 자신이 책을 많이 읽는다고 자랑스러워 하는 회원들도 만나볼수 있다. 한달에 백여권을 읽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물론 이들이 다 거짓말쟁이는 아닐것이다. 하지만 난 이런 사람 백명중 한두명을 뺀 98명은 거짓말쟁이라고 생각한다. 무슨 로봇도 아니고 버젖이 학교를 다니거나, 직장을 다니거나, 살림을 하는 주부가 하루에 두세권씩의 독서를 한다는건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백명중의 한두명 실제로 하루에 두세권 책을 읽는 사람이 있다하더라도 자기가 읽은 책이 무슨 내용이고, 무슨 뜻을 함축하고 있으며, 주제가 뭔지 제대로 알고 넘어가는 사람은 또 그 백여명 중에 한두명에 불과할 거다.


이말인즉슨 기계적으로 책을 읽는것까진 가능하다쳐도 그게 과연 책을 읽은거라고 할수 있겠냐는 거다. 그냥 까만것은 글이고, 하얀것은 종인데 까만것만 읽었으니까 나는 저 책을 다 읽은거야 뭐 이런정도 밖에는 의미를 둘수 없다. 하지만 <초등공부 국어가 전부다>에서 말하는걸 들어보면 그건 '읽기'를 제대로 못하는거라고 할수 있다. PART1의 두번째 목차 '듣고나서도 기억을 못해요. 왜 그럴까요?' 편에 보면 이와 유사한 얘기가 소개된다. 읽기 뿐만이 아니고 듣기도 마찬가지다. 언어심리학자들은 듣기의 과정을 ①정보확인 단계, ②내용이해 단계, ③비판 단계, ④감상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정보확인 단계는 말 그대로 귀에 들려오는 소리를 듣는 과정이다. 청각에 문제가 없다면 누구나 이 단계는 정상적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중요한건 그 다음단계, 내용이해 단계다. 귀에 들려오는 말이나 소리를 자신의 경험, 생각, 배경지식등을 활용해 그 의미를 이해하려고 하는 시도인데 훈련이 잘된 아이들은 이 단계도 어렵지않게 거치지만, 몇몇 아이들은 귀에 들리는 말이나 소리를 그저 소리로만 받아들일뿐 무슨 뜻이고 내용인지 이해하려는 노력조차 안하는 아이들이 존재한다. 


내용이해 단계까지 거친 다음에는 비판 단계가 기다리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이 들은 말을 스스로 이해하고, 이 중 잘못됐거나 논리적이지 못한 부분을 찾아내는 역할까지 가능하다. 마지막 감상 단계에 이르면 자신이 들은것에 대한 일종의 가치판단 또는 정서적 변화가 수반되는 활동으로 이어지는 단계다.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자기말만 하는 아이, 상대가 하는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동문서답을 하는 아이들은 두번째, 세번째 단계에서 막혀있는 경우라고 할수 있다. 요즘은 국어 외에 과목들도 점점 글들이 많아지는 추세다. 수학문제도 전처럼 1+1은? 이라고 묻는 경우보다 철수와 영희가 사과를 두개씩 들고있었는데 영희가 철수에게 하나를 줬다. 그럼 철수가 가지고있는 사과는 몇개일까? 와 같이 말이 많아지고, 길어지고 있다. 이는 수학뿐만 아니라 과학과목도 마찬가지여서 이런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수학적, 과학적 사고보다 문제가 물어오는 뜻을 제대로 이해하는데서 문제풀이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는 곧 국어능력이 뒷받침되야만이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다른과목들도 문제를 풀수 있다는 뜻이다.


읽었다고 하는것은 눈으로 글자를 보고 끝나는게 아니라, 읽은 글의 문맥을 파악하고, 요점을 추려내는것 까지가 '읽기'다. 들었다고 하는것도 귀로 소리를 듣고 끝나는게 아니라, 들은 소리의 뜻과 정보를 가려서 내 생각과 행동으로 반영이 될수 있어야만이 제대로 '듣기'가 된거다. 말하기도 내가 하고자하는 말을 조리있게 상대에게 전달시키는 것이 제대로 된 '말하기'다. 쓰기는 더더욱 중요하다. 받아쓰기가 아닌이상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상대가 잘 이해할수 있게 표현하여 쓰는것이 진짜 '쓰기'다. 그리고 쓰기가 가장 어렵다. 요즘 논술, 논술 하면서 논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결국 논술의 주는 쓰기가 아니겠는가.


이처럼 사람은 누구나 말하고, 듣고, 읽고, 쓰기를 할수있고, 또 그렇게 해왔지만 제대로 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를 할줄 안다는 것은 대단한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제 막 초등학교에 입학한 우리아이들에게는 덧셈,뻴셈을 할줄 아는것보다,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것 보다, 책을 많이 읽어 지식이 많은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국어라고 할수있겠다. 이 책은 첫장부터 순차적으로 읽기보다는 목차를 통해 내가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이나, 우리 아이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찾아서 읽은것이 도움이 된다. 어린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들의 필독서로 권장한다.



초등공부 국어가 전부다
국내도서>가정과 생활
저자 : 김정금
출판 : 예문당 2012.06.25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