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칼럼니스트라고 불리기도 하고, 더 나아가서 '대중문화평론가'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는 저자 정석희씨. 이런 말에 낯간지러워하며 겸손해 하지만 소위 드라마, 영화, 대중가요등으로 대변되는 대중문화의 숨은 코드와 유행코드를 정확히 보고 이를 주제로 칼럼을 쓰고, 방송에 출연하는등 활발한 활동을 펴고 있는 분이다. 낯간지럽더라도 딱 그 이름이 제대로다. 대중문화평론가. 책을 읽다보면 친근한 이웃집 아줌마인데 그것도 티비 드라마를 너무 좋아해서 하루종일 티비만 보고, 드라마 이야기로 하루종일 친구들과 수다를 떨어도 지칠것 같지 않는 이미지다. 흔히들 '티비는 바보상자'라고 얘기한다. 수험생들은 물론이거니와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앞둔 초등학생들 마저도 시험기간에 티비를 맘놓고 볼수 있는 가정이 얼마나 되겠는가. 대번에 엄마의 눈이 '매의 눈'으로 빙의되면서 고래고래 소리를 치거나, 장장 30분에 달하는 잔소리가 시작되기 일보 직전 상태일거다. 그런데 우리의 대중문화평론가께서는 이같은 선입견과 고정관념에 과감하게 태클을 거신다.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처럼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야 할 모든것은 티비에서 배운다'라는 신념을 갖고 계신 분이었다. 오죽하면 자녀들에게 틈만나면 티비를 보라고 권하신다고 하니... 사람사는 세상의 쓴맛도, 단맛도, 기쁨도, 슬픔도 모두 다양한 형태의 대중문화로 티비에서 확인할 수 있단다.
저자는 제목처럼, 항상 보는 티비 드라마 혹은 예능프로라 할지라도 어느날 갑자기 들린 그 말에 마음이 움직이는 놀라운 경험을 하고나서는 티비 예찬론자가 되버렸다. 티비를 보다가 감명받은 얘기나 연에인들에 관한 이야기다 보니 이 책에는 수많은 연예인들, 그것도 일명 '개념 연예인'들이 등장한다. 첫타자가 하지원이고, 이어서 이효리, 장근석, 천정명, 한혜진, 김연우, 배두나, 박경림등... 이들의 진솔한 말속에서, 어린시절 어려웠던 환경을 딛고 꿈을 키우고 성공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큰 감동이 전해져온다.
![]() |
|
'내가 본영화,읽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소 실망스러웠던 늑대소년 (12) | 2012.11.14 |
---|---|
미국사가 궁금할땐, '미국사 다이제스트100' (13) | 2012.11.12 |
쏠쏠한 재미의 야구계 뒷이야기 '야구의 뒷모습' (22) | 2012.11.07 |
신예 여성작가가 쓴 러브스토리 '흑백의 행성에서' (14) | 2012.10.25 |
한국 정치 근대사의 비공식 야사집, '정치과외 제1교시' (24) | 201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