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는 김성원이다. 현재 KBS 2FM '유희열의 라디오 천국' 담당 작가로 일하고 있다.
그런데 김성원이란 이름보다 난 유희열이란 이름에 먼저 시선이 닿았다. 내가 유희열을
좋아하냐고?
그건 아니다. 그의 방송을 들어본 적도 없거니와 소수 매니아들 사이에서 인기있는 그의 노래도
기억나는게 별로 없으니 그를 좋아한다고는 말할수 없을것 같다. 그런데 왜 유희열이란 이름에
먼저 눈이 갔을까?
유희열은 차분하고 깔끔한 진행솜씨로 라디오 및 티비 심야 음악프로 진행을 자주 맡고있다.
KBS 2TV에서 금요일 밤 12시에 방송되던 '유희열의 스케치북'이란 프로그램도 진행을 해왔다.
근데 그 프로그램의 방송작가였던 정민선이 '집나간 마음을 찾습니다'란 제목으로 얼마전에
책을 낸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번엔 '유희열의 라디오천국' 작가가 또 책을 냈으니
그만큼 방송작가들의 출간이 붐을 이룬것인지 아니면 유희열과 함께 작업만 하면 묘한 용기를
얻어 책을 내게 되는건지 궁금해진다. 저자 김성원도 프롤로그에서 가장 먼지 유희열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 |
||
그가 없었으면 '그녀가 말했다'는 애초에 세상에 나오지도 않았을 것이다. |
||
![]() |
이 책은 '여성용' 책이다.
감히 그렇게 말하고 싶다. 그럼 남성들은 읽으면 안되느냐...안될거야 없겠지만 남자들이
읽었을땐 별다른 감흥을 받지 못할거라 생각된다. 이 책은 여자들만의 코드로 똘똘 뭉쳐있다.
남자들이 읽는다면 "에이~ 이게 뭐야.. 이게 책이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여성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때론 눈물을 흘리고, 때론 다이어리에 주옥같은 글귀들을 받아적고, 때론
내 경우와 비교해서 이건 이런데, 나는 저랬는데, 하며 반론을 펴거나 심하게 동감하며 고개를
주억거릴 것이다.
그런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진다. 그래서 이 책은 여성용 책이라고 감히 얘기하는거고...
"내가 사랑하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이 보았던 것" 이라니.. 이 얼마나 로맨틱 한 제목인가!
맛있는 음식을 보거나, 진귀하고 아름다운 광경을 보거나, 재미있는 경험을 할때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지 못하는 걸 아쉬워하며 언제고 꼭 둘만이 다시한번 경험하게
되기를 바란다.
김성원의 감각적인 글들과 함께 이 책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요소는 바로 사진이다.
런던, 도쿄, 파리와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의 아름다운 광경들을 카메라에 담아 글 사이사이
포진시킨 멋진 사진들은 이 책의 감성지수를 배로 높여준다. 닉네임 '밤삼킨별' 김효정의
작품이란다.
이 책의 각 에피소드들은 아주 유쾌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모든 글의 시작이 항상 "그녀가 말했다"로 시작한다는 점.
그녀가 말했다.
"난 항상 다른 사람 상담만 해주게 돼. 왜 이런거야?"
그녀가 말했다.
"다행이다. 봄이 와서.."
그녀가 말했다.
"오스카 와일드는 이런 이야기를 했대."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그녀가 말했다" 이다. 여기서 그녀는 누구일까? 특정한 인물이 아니다.
내가 될수도, 당신이 될수도, 아니면 우리 주위 그 누구도 될수 있는 인물이다. 단 그 사람은
'그녀'여야만 한다. 이 책은 철저히 여성적인 감성으로, 여성스럽게 씌여진 책이다.
그리고 밤에 대여섯 꼭지씩 자기전에 읽고 자면 독서의 기쁨이 최고조로 달할것 같다.
단, 이 책을 읽기전 자신이 열정적인 사랑을 경험해 보았는가, 실연의 아픔을 겪어봤는가
자문해봐야 할것이다. 그런 경험이 없다면 책을 읽기전 먼저 사랑부터 해보시길 바란다..
![]() |
|
'내가 본영화,읽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원을 말해봐' SM연습생 출신의 카이스트 입성기 (37) | 2011.04.01 |
---|---|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하면서 살고있나? (38) | 2011.03.31 |
일곱명의 여류작가 단편소설집 '일곱가지 색깔로 내리는 비' (43) | 2011.03.29 |
'한국촌놈, 베이징대 접수하다' 이런 독한놈 소리가 절로나온다.. (76) | 2011.03.28 |
행복은 바로 우리곁에 있다는걸 일깨워 주는 책 (42) | 201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