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벌, 남벌이란 용어는 왠지 듣기만 해도 피가 뜨거워지는 말들이다. 항상 외세에 침략만 받아온
우리 역사에서 우리가 먼저 중국을, 일본을 정벌하는 전쟁을 일으킨다는 설정은 상상만으로도
통쾌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이같은 일이 비록 실제로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성사 직전까지 갔던
때가 있었고, 만약 실제로 성사되었다면 우리 역사는 어떻게 달라져있을까 상상해보는 일은
흥미진진하다.
오래전 만화가 이현세가 그린 '남벌'은 독도 영유권 문제가 악화되서 일본과 한국이 전쟁까지
간다는 소재를 담고있다. 막강한 자위대의 화력앞에 큰소리만 치다가 열세를 보이는 전세가,
북한이 남한과 연합군을 구성하며 일본을 물리친다는 결말은 만화 자체로 극도의 쾌감을 안겨
줬다. 이번엔 중국이다, 그것도 우리에게 '삼전도의 치욕'을 안겨줬던, 조선의 국왕이 청나라의
장수앞에 무릎꿇고, 이마를 땅에 조아리며 신하의 맹세를 했던 병자호란의 상대 청나라를 대상으로
한 소설이다.
사실 아는 사람은 다 알고 있겠지만 병자호란에 패해 청나라에 무릎꿇었던 인조의 아들 효종은
복수의 칼을 갈면서 북벌계획을 세웠고, 이는 성사직전까지 갔었던 엄연한 역사적 실재이다.
북벌을 진두지휘하던 효종이 갑자기 의문에 싸인 급사를 하면서 결국 이 북벌계획은 소멸되고
말았지만... 소설은 효종과, 효종의 총애를 받으며 북벌계획을 총괄하던 훈련도감 대장 이완,
그리고 이완의 오른팔인 종사관 윤헌을 북벌파로, 반대편으로는 청나라와 화친하며 실리를
추구하려했던 소현세자의 심복 성명욱을, 그리고 말로는 북벌을 주장하면서도 실제로는 청을
두려워하고 북벌을 권력을 유지하는 명분으로만 삼으려하는 서인의 거두 송시열등을 등장인물로
하고있다. 표면적으로는 성공 가능성도 어느때보다 컷던 북벌계획이 송시열등의 서인들과,
명성욱등의 소현세자파에 의해 가로막혀 좌절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작가 오세영은 쇠락한
양반출신의 거상 허생이란 인물을 통해 과연 진정한 북벌이란 무엇인지, 되묻고 있다.
이 소설은 이같은 '북벌'을 소재로 다루면서 또하나 재미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바로 핵심적인
조연 역할을 하는 상인 허 생을 통해서다. 이름이 낯익다. 허 생? 허 생은 소설속에서 쇠락한 양반
출신이면서 북벌에 찬성해 물자를 조달하다가 훈련도감 이완과 북벌의 방법과 진정성을 놓고
대립하다 '북벌'이 허울뿐인 말뿐임에 염증을 느끼고 홀연히 사라졌던 상인으로 나온다. 그러다
다시 북벌계획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면서 화약과 염초를 구하는 일이 어렵자 이완 대장이 도움을
요청하게 되고 다시 나타나 이를 돕는 역할이다. 사실 18세기 연암 박지원이 쓴 소설 '허생전'에서
나오는 캐릭터를 그대로 인용한 거다. 박지원은 소설 '허생전'에서 당시 북벌을 주장하던 사대부들의
위선을 신랄하게 비판한 바 있다. 21세기 소설가 오세영은 다시 허 생을 등장시켜 '허생전'이후의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어찌보면 이 소설의 주제는 '북벌'이고 주인공은 효종, 이완, 윤헌등 북벌파다. 그리고 이들의 적으로
등장하는 성명욱등의 소현세자파들의 논리는 진정한 북벌이란 청나라를 군사적으로 정벌하는 것이
아니라 청나라의 발달된 문명과 과학을 접목해 부국강병을 추구하자는 논리다. 소현세자라고 해서
아버지와 조국 조선이 겪은 수모와 치욕을 모르겠느냐는 거다. 그 어느 누구보다 청나라에 반감이
있겠지만 더 크게, 넓게 봐서 조선이 청나라를 이기는 방법은 청나라와 화친하고, 부국강병을 이루는
것이라는 거다. 그런데 소설의 결말부에 허 생의 대사나 작가의 말등을 통해서 본 결말은 주인공들의
논리를 따르지 않고, 오히려 적으로 등장했던 소현세자파의 입장과 가깝다. 그러면서 독자들에게도
질문을 던진다. 정말 '북벌'이 옳은 정책이었을까? 진정한 북벌이란 무엇일까?
|
'내가 본영화,읽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조건 따라하는 다이어트 '17일 다이어트' (54) | 2011.08.20 |
---|---|
민주화의 대명사, 영원한 라이벌 '김대중vs김영삼' (60) | 2011.08.19 |
5만쌍 커플들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만든 '커플 체크업' (55) | 2011.08.17 |
'내가 너를 사랑하는 100가지 이유' 세번째 이야기 Ver.3 (49) | 2011.08.16 |
이사카 고타로의 새소설 '마리아 비틀' (38) | 2011.08.13 |